지난 1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미국 애리조나 미드웨스턴대학교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맹장이 우리 몸에서 어떻게 일하고 있었는지를 전했다.

해당 연구팀은 맹장의 진화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포유류 533종의 내장과 환경 특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맹장이 각기 다른 종에서 30차례에 걸쳐 진화했으며 한번 맹장이 생기면 진화 과정에서도 사라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맹장을 지닌 동물은 내장 내 림프 조직의 밀도가 높았는데 이 림프조직은 몸에 이로운 영향을 끼치는 박테리아가 자라도록 자극하는 역할을 했다.
즉 맹장은 유익한 박테리아 저장고 역할을 해 면역 체계를 받쳐주는 기능을 지닌다.
대장은 장기 특성상 박테리아가 많은데 설사를 한다거나 체력이 저하될 경우 이 박테리아들이 대변과 함께 쓸려나간다.
그렇게 되면 대장 내에 비타민을 합성할 박테리아들이 사라져 비타민 부족과 함께 장 트러블이 생긴다.
이때 맹장이 있는 경우는 맹장 속 미생물들이 빠르게 증식해 다시 대장을 덮어버려 원상복구시키지만 맹장이 없는 경우 원상복구되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동안 맹장은 초식동물에게만 중요한 기관으로 인간에게는 불필요한 기관으로 취급당해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면역체계에 기여하는 기관으로 당당히 인정받게 됐다.
누리꾼들은 "역시 이 세상에 필요없는 건 없다. 다 이유가 있으니까 달려있는 것", "맹장 수술한 사람은 어쩌나", "어쩐지 수술 후에 추위를 많이 타게 됐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