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명승권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오메가3 지방산의 고중성지방혈증 예방과 치료에 대한 58편의 임상시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2일 발표했다.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을 유발하는 고중성 지방혈증은 혈액 속 중성지방 수치 증가로 혈관이 막히는 증상을 말하며, 생선 기름이나 콩기름 등에 많이 들어있는 오메가3 지방산이 혈중중성지방 수치를 낮춰 심혈관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잇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연구팀은 일반인과 심혈관질환 환자 등을 대상으로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를 처방한 58편의 임상시험 보고서를 분석했다.
이들 임상시험은 한 집단에는 약효가 없는 가짜 약을, 다른 집단에는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를 처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에 따르면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는 심혈관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위약(가짜약)보다 38.59㎎/㎗만큼 낮췄다.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은 3㎎/㎗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하지만 분석에 포함된 임상시험들 간에 효과차이가 심했고, 전반적으로 임상시험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았다"고 설명했다.
또 분석에 포함된 임상시험의 약 70%는 연구대상자수가 100명 미만으로 연구대상자수가 적었다. "오메가-3 지방산의 이상지질혈증, 특히 고중성지방혈증의 예방이나 치료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명승권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 와에도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의 치료 효과가 없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었다"며 "현재 고중성지방혈증의 치료 가이드라인에 치료제로 돼 있는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개정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가 건강기능식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효과는 불분명하다"며 "보충제보다 생선 등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SCI 국제학술지인 유럽지질과학기술저널(European Journal of Lipid Science and Technology) 12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