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이란 1860년 무렵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의 시기에 농업이민, 항일독립운동, 강제동원 등으로 현재의 러시아 및 구소련 지역(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우크라이나·키르기스스탄·투르크메니스탄·타지키스탄 등)으로 이주한 이와 그 친족을 일컫는 말이다.
두만강 근처에 거주하던 한인들이 러시아 극동지방인 연해주로 들어가 살기 시작한 것은 1860년 이전부터라 전해진다. 하지만 문헌에는 1863년(철종 14) 한인 농민 13세대가 두만강을 몰래 건너 연해주 포시에트(Posyet) 지역에 정착하면서 최초의 이주가 이루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봉건지주와 관리들의 수탈과 착취, 횡포를 피해 국외로 이주한 함경도 출신 농민들이었다.
한편 고려인 사회에서는 최초 이주시점을 러시아 공식문건에 기재된 해이자 제정러시아 당국으로부터 정착 허가를 받은 해인 1864년으로 본다. 포시에트 지역으로의 이주는 해마다 증가하여 1868년 165가구, 1869년 766가구로 늘어났다. 1860년 후반~1870년대 중반에는 연해주 곳곳에 한인촌들이 생겼다. 급기야 1882년 연해주에는 고려인의 수(1만 137명)가 러시아인(8,385명)보다 많았다.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고려인은 항일의병활동과 독립운동의 선봉에 섰고, 연해주는 항쟁의 배후기지가 되었다. 러일전쟁은 농민뿐 아니라 항일·독립 운동가 등의 연해주 이주를 촉발시킨 계기가 되었다. 고려인 수만 명은 1908년 조직된 연해주 의병에 참여하였고, 1910년 국권피탈 후에는 민족운동단체들을 조직하며 독립을 위하여 헌신했었다.
[사진] 방송 캡처, 온라인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