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 ENM이 Mnet의 30주년을 기념하여 'Mnext: Worlds of Mnet Since 2025' 행사를 개최하고, 2025년 글로벌 음악사업의 청사진을 발표했다. 이 행사는 지난 4월 15일 오후 4시에 진행되었으며, CJ ENM 신형관 음악콘텐츠사업본부장과 김지원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이 발표자로 나섰다. 이들은 CJ ENM의 글로벌 음악사업 전략과 엠넷플러스의 비전을 공유하며, 향후 계획을 상세히 설명했다.
CJ ENM은 올해를 기점으로 글로벌 멀티 레이블, 제작 스튜디오, 플랫폼이라는 세 가지 핵심 축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연내에 새로운 글로벌 레이블을 신설하고, 글로벌 타깃 콘텐츠를 확장하며, 엠넷플러스 신규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CJ ENM은 세계 음악 시장에서 입지를 넓힐 방침이다.
신형관 본부장은 발표에서 웨이크원과 일본 라포네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K-POP 아티스트들과 팬들을 연결하는 새로운 글로벌 레이블 설립 계획을 밝혔다. 웨이크원을 통해 세계 무대에 진출한 K-POP 아티스트들과 라포네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일본에 K-POP 육성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글로벌 아티스트 레이블이 출범할 예정이다.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측면에서도 K-POP을 넘어 다양한 글로벌 아티스트들과 협업 가능한 대형 프로젝트 제작이 확대될 예정이다. 특히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와 같은 국가 대항전 형식의 프로그램이나 '보이즈 2 플래닛'과 같은 동시 제작 및 방송 프로젝트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애플 TV+와 함께하는 경연 시리즈 '케이팝드(가제)'와 같은 새로운 서바이벌 장르 확장을 위한 프로젝트도 선보일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언프리티 랩스타 제작진과 스트릿 우먼 파이터 제작진이 협력하여 한일 합작 힙합 프로젝트인 '언프리티 랩스타: 힙팝 프린세스'가 방영될 예정이며, 이는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CJ ENM은 이러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음악 기반 IP 생태계 시스템인 MCS(Music Creative eco-System)를 활용하여 재능 있는 아티스트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중소기획사와의 협업 및 글로벌 파트너십 등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지원 엠넷플러스 사업부장은 엠넷플러스 플랫폼 고도화 계획에 대해 설명하며, K-POP 콘텐츠와 팬들과의 소통 그리고 글로벌 커머스를 핵심 요소로 삼겠다고 밝혔다. 엠넷플러스는 론칭 3년 만에 가입자 수가 2700만 명을 돌파했으며, 월간활성이용자(MAU) 수치도 700만 명에 달하는 등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에는 ‘숨바꼭질’ 등 오리지널 콘텐츠뿐만 아니라 Mnet 프로그램, 콘서트 및 KCON과 MAMA AWARDS의 스트리밍 및 VOD 서비스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팬터랙티브 콘텐츠 확대와 함께 ‘플러스 챗(Plus Chat)’ 기능을 도입하여 팬클럽 운영 및 팬 전용 아티스트 포스팅 등의 소통 기능도 제공할 계획이다. 오는 4월에는 ‘엠넷플러스 머치(Mnet Plus Merch)’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여 CJ ENM의 IP를 활용한 온라인∙오프라인 커머스를 연결하고 리미티드 에디션 상품 등을 통해 팬덤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CJ ENM MUSIC 미디어 라운지에서는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들의 축하 메시지와 함께 투표로 선정된 레전드 스테이지의 4K 리마스터링 영상도 공개되어 많은 관심을 끌었다. 신형관 본부장은 "글로벌 멀티 레이블과 제작 스튜디오 그리고 플랫폼 삼각 전략을 통해 CJ ENM만의 차별화된 가치를 세계 음악 시장에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CJ ENM은 앞으로도 콘텐츠 제작력과 플랫폼 운영 노하우 그리고 아티스트 육성 경험을 바탕으로 K-POP의 글로벌 영향력을 더욱 확장하며 음악 산업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출처= CJ ENM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