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최근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부천에서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 사건과 관련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 사고를 신고했다. KT는 9일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이 사건은 지난달 26일부터 KT 사용자들로부터 소액결제 피해 신고가 접수되면서 시작됐다. 광명과 금천 지역에서는 총 4천580만원이 결제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광명과 금천에서 발생한 74건의 피해 사건을 병합 수사하고 있다. 부천 지역에서도 추가적인 신고가 접수됐다. 현재 확인된 부천 지역의 피해 규모는 모바일 상품권 충전 등으로 총 411만원이다. 피해자들은 새벽 시간대에 모바일 상품권 구매와 교통카드 충전 등의 명목으로 수십만원이 무단 결제됐다고 경찰에 신고했다.
KT는 지난 5일 새벽부터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하기 시작했다. KT 측은 소액결제 피해 고객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조치를 완료했으며, 결제 한도를 하향 조정하는 등의 대응을 진행 중이다. KT 관계자는 "현재까지 접수된 피해 사례는 모두 차단 조치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KT는 개인정보 해킹 정황이 없음을 확인했다. KT 측은 "고객 피해 발생으로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며 "경찰 수사와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해 조속히 사건이 규명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KT는 100번 고객센터와 24시간 운영 중인 전담 고객센터를 통해 고객 문의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KT 가입자, 특정 지역, 새벽 시간대라는 세 가지 공통점을 갖추고 있다. 피해자들은 악성 앱 설치나 스미싱 문자 확인 등 일반적인 해킹 피해 사례와 달리 별다른 행동 없이 피해를 입었다고 진술했다. KT는 소액결제 한도를 100만원에서 10만원으로 낮추고 이상 거래 탐지 시스템을 강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하여 원인 분석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착수했으며, 경찰은 관련 사건을 병합 수사 중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차관은 신속한 원인 규명과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