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매년 반복되는 교복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 전국 모든 학교의 교복을 통일된 규격과 디자인의 교복으로 통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방안이 추진되게 된 배경은 교복값이 치솟고, 전학을 가면 교복을 다시 맞춰야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정원' 공정거래위원회 회장은 "교복표준디자인제를 통해 학생교복시장의 경쟁원리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교육부측에 약 10~20여 개 디자인을 제시할 것이다" 라고 밝혔다.
현재 교육부도 교복표준디자인제도 시행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본격적인 방안 마련에 들어간 상태다.
교복 디자인 통일은 1969년 중학교 평준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시작되었다. 영화 등에서 볼 수 있는 검은색 교복이 그 당시에 입던 교복이다. 통일된 교복은교복 자율화가 이루어지기 전의 12년 간 유지 되었다. 교복 자율화 시대가 끝나고 1985년부터 교복 선택권이 학교장 자율로 바뀌면서 현재의 교복이 자리잡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