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부 7쌍 중 1쌍은 난임부부로 집계된다. 난임은 매년 5%씩 증가하고 있다.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 난임 문제는 저출생 위기와 직결된다.
KBS는 7월 6일 오후 9시 40분 KBS 1TV에서 저출생 위기 대응 특집 다큐멘터리 <슬기로운 난임생활>을 방송한다. 이 프로그램은 난임부부가 겪는 현실과 극복 과정을 드라마, 생성형 AI 영상, 실제 난임부부 인터뷰를 통해 다각도로 조명한다.
다큐멘터리는 난임이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과 사회 전체가 함께 짊어져야 할 문제임을 강조한다. 난임부부를 둘러싼 사회적 지지와 관심이 절실하다는 점을 부각한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출산 육아 지원 정책도 소개한다.
난임 극복 과정에서 부부 간 대화와 이해가 중요하다는 점도 다뤄진다. 과배란 주사 부작용과 임신 착상 실패 등 난임 시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부부가 서로 배려하고 소통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고 실제 난임부부들이 전한다.
사회적 시선 역시 난임부부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결혼한 지 몇 년인데 왜 애가 없냐”, “여자는 나이 들면 애 못 낳아”와 같은 무심한 말들이 난임부부에게 상처가 된다. 다큐멘터리는 난임부부를 향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응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20대 난임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젊은 부부도 난임 문제에서 예외가 아니며, 빠른 난임 시술 결정이 극복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20대 난임부부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난임 극복 과정에서 난임부부가 겪는 정서적 고립과 심리적 위축 문제도 다뤄진다. 난임 전문가들이 정확한 정보와 극복 방법을 제시하며, 가족과 직장, 사회가 난임부부를 지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끝으로 서울시의 탄생 응원 프로젝트를 통해 저출생 극복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 방안도 소개한다. 난임을 극복하고 출산한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 전반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린다.
<슬기로운 난임생활>은 저출생 시대 난임부부들의 현실과 극복 사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7월 6일 밤 9시 40분 KBS 1TV에서 방송된다.
[출처=KBS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