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이 지구공전궤도 근처를 지날 수 있는 새로운 천체 2개를 발견했다.
천문연의 문홍규 연구팀은 작년 8월 칠레,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관측소에서 운영하는 지름 1.6m급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망원경 3기로 소행성들을 찾았다고 오늘(25일) 밝혔다. 두 소행성은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에서 각각 '2018 PM28'(PM28), '2018 PP29'(PP29)라는 임시번호를 받았다.
KMTNet은 칠레와 남아공, 호주에 설치, 운영하는 24시간 ‘별이 지지 않는’ 남반구 천문대 네트워크로 보름달 16개가 들어가는 넓은 하늘을 한 번에 촬영하는 카메라를 탑재, 외계행성 탐색은 물론 소행성 탐사 관측에 최적화돼 있다.
연구팀은 KMTNet로 두 소행성을 검출한후, PM28과 PP29에 대해 각 44일과 10일 동안 궤도운동을 추적해 정밀궤도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PP29는 MPC로부터 지구위협소행성(PHA, Potentially Hazardous Asteroid)으로 확인받았다. PM28는 근지구소행성(NEA, Near Earth Asteroid)으로 분류됐다.
PHA는 근지구소행성(NEA) 중에서 지름이 140m 보다 크고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거리가 0.05AU(약 750만km) 보다 가까운 천체를 의미한다. NEA는 궤도 운동 중 태양까지의 최소거리(근일점 거리)가 1.3AU(약 1억 9천 5백만km) 보다 작아 지구 공전궤도 근처에 분포하는 천체를 뜻한다.
PM28은 직경 20~40m 사이의 크기로 추정되며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거리가 0.05AU(약 750만km) 보다 가까울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충돌이 일어났을 때 반경 수백㎞ 지역에 재난을 초래할 수 있는 크기인 지름 140m 보다 작아 PHA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PP29는 발견 당시의 밝기와 거리, 소행성의 평균반사율을 고려하면 160m급 크기로 추정된다. 또한 공전주기도 5.7년으로 매우 길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PP29의 경우 소행성의 충돌 가능성을 감시하는 미국NASA의 센트리(Sentry) 시스템에 따르면, 2063년과 2069년 지구 충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M28은 앞으로 100년동안 충돌 위협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두 소행성의 충돌확률이 약 28억분의 1정도로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미래 충돌위협을 구체적으로 예측하거나 소행성 탐사 임무 대상으로 결정키 위해서 정밀궤도와 자전특성, 구성물질과 같은 다양한 성질을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발견된 소행성이 오랜 관측을 통해 궤도가 정교하게 결정되면, 임시번호 대신 숫자로만 구성된 고유번호를 부여받는다. 여기에 걸리는 시간은 최대 10년 정도이며, 소행성 발견자는 고유번호를 제안할 권리를 갖는다.
이번 발견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내가 살아있을때 소행성이 왜 오냐고.', '충돌소식은 매해 들리는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