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는 7월 6일 오후 7시 10분에 방송되는 <이슈 PICK 쌤과 함께> 238회에서 ‘우리의 해피엔딩, 좋은 죽음을 위하여’ 편을 방영한다. 이번 방송은 법의학자 유성호 교수를 초청해 ‘좋은 죽음’을 맞이하는 방법과 삶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방향을 다룬다.
대한민국은 현재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으며 연간 35만 명 이상이 생을 마감한다. 죽음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로 부상했다. 유성호 교수는 방송에서 “순탄한 죽음을 맞이할 권리, 고통 없이 떠날 권리, 삶의 마지막을 선택할 권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사망 원인 1위는 암이다. 유 교수는 “암이 사망 원인 1위라는 것은 우리가 오래 살고 있다는 뜻이며, 이는 명실상부한 선진국이라는 반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자살률 역시 중요한 문제로 지적된다.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평균보다 훨씬 높으며, 특히 70대와 80대 이상 노년층의 자살률은 OECD 평균의 2~3배 이상이다.
유 교수는 노인의 자살 원인으로 만성질환, 가족과의 단절, 외로움, 경제적 어려움 등 복합적인 요인을 들었다. 또한 “노인들 사이에서 ‘peer pressure’, 즉 또래 집단과의 비교에서 오는 심리적 압박감이 자살의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그는 “혼자 사는 노인은 ‘다른 사람은 누군가 돌봐주고 챙겨주는데 나는 혼자다’라는 고립감과 소외감이 ‘나는 쓸모없는 존재가 아닐까’라는 무력감으로 이어진다”며, “이는 단순한 개인 심리 문제가 아니라 노인을 경쟁적으로 살아가야 하는 존재로 만든 사회 구조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이제는 ‘어떻게 살 것인가’뿐만 아니라 ‘어떻게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좋은 죽음’을 준비하는 실천 방법으로 ‘유언 작성’을 제안했다. 유 교수는 “유언은 단순히 나이 든 사람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성찰의 도구”라며 “유언을 써보는 과정에서 자신이 어떤 관계를 맺으며 살아왔는지를 되새기게 되고, 그것이 곧 삶의 의미를 되짚는 일이 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유 교수는 “죽음을 특별하거나 무겁게만 여길 필요는 없다”며 “식탁 위의 일상 대화처럼 죽음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삶의 한 부분으로서 죽음을 받아들이고, 모두가 자신의 마지막 장면을 스스로 준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방송 이후에는 KBS 홈페이지, Wavve, 유튜브 KBS 교양 및 KBS 다큐 채널을 통해 다시 시청할 수 있다.
[출처=KBS 제공]